박종훈 경남교육감. 부산교육청 유튜브 캡처박종훈 경남도교육감이 초·중·고교생 등을 대상으로 한 노트북 등 스마트 단말기 무상 보급 사업은 교육감 선거를 위한 전략이었다는 취지의 주장이 국정감사에서 나왔다.
박 교육감은 그런 의도가 없고 시기와 목적에 맞게 사업을 진행했다고 반박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조경태(국민의힘 부산 사하구을) 의원은 18일 부산교육청에 열린 경남·부산·울산교육청 국정감사에서 박종훈 도교육감에게 "지난해 6월 지방선거 도교육감 선거 0.47%포인트 차이였다. 그 이전에 초중고 특수학교에 사업비 1500여억원으로 1인당 노트북 1대씩 29만대를 도입했다"며 "많은 국민, 도민이 이 사업에 대해 의심의 눈초리를 갖고 있다. 바로 보급 사업 시점이다. 2021년 11월 조달청 구매 입찰 공고와 긴급입찰사유서 띄었다. 그 이유가 뭔가"라고 질의했다.
박 도교육감은 이에 "당시 코로나19 상황으로 원격 수업 이뤄지고 우리교육청이 인공지능을 도입한 미래교육 플랫폼 아이톡톡을 개발해서 활용하고 있었기에 좀 빨리 아이들에게 노트북을 주고 싶었다"고 답했다.
조 의원은 다시 "사실 코로나는 2020년부터 있었다. 그럼 사업을 시작하려면 2021년부터 했어야 한다"며 "그런데 공교롭게도 2022년 6월 교육감 선거가 있었다. 노트북 1차분(2022년 2월) 13만대 나갔다. 승리한 게 6700표 차이인데 이런 의혹이 있다"라고 되물었다.
조경태 의원. 부산교육청 유튜브 캡처박 도교육감은 이에 "저희는 3월이 개학, 9월이 개학이라 개학 전에 아이들에게 (노트북을) 주는 게 효율적이라고 해서 2월과 8월로 준 거지 다른 의도는 없었다"고 답했다.
조 의원은 "국산 기기가 아니라 외국산 선정 기기 이유가 뭔가"라는 취지로 재차 물었다.
박 도교육감은 "조달청에 의뢰해 사업을 진행했기 때문에 기기에 대한 선정 권한은 저희가 없고 (우리는) 단지 규격만 제시하고 조달청에서 유통업자를 선정했다"고 답했다.
조 의원은 "아이들을 위한 정신이었다면 기기가 좀 더 고급사양이었어야 하는데 그러질 못한다는 데 의혹이 있다"고 재차 물었다.
박 도교육감은 "우리보다 2배 많은 돈으로 한 경기도도 저희랑 똑같은 사양이다. 가격 대비 성능으로 쳤을 때는 저희들은 나쁘다고 이야기 하지 않는다"며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요구해서 자체 감사하고 감사원에 보고까지 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