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구석정 여인숙 (사진=경남도청 제공)
조선시대 통제영 거리와 일제 강점기 때부터 해방 이후 까지의 흔적들이 남아 있는 경남 통영시 중앙동, 항남동이 근대역사문화공간으로 조성된다.
경상남도는 '통영 근대역사문화공간'이 국가 등록문화재 제777호로 등록됨에 따라 문화재청의 공모사업인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 활성화 확산 사업' 대상지로 최종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이에 따라 국비 250억 원을 포함해 500억 원이 5년 간 투입된다.
이 사업은 기존 개별 문화재 중심의 관리 체계를 '선(線)‧면(面)' 공간 단위로 확장해 가치 활용을 극대화 하고, 문화재와 지역이 상생하는 특화된 명품 공간을 조성한다.
등록문화재란 건축물과 산업구조물, 생활·역사·인물 유적 등 근대 문화자원을 뜻한다. 지정문화재에 비해 규제는 최소화하고 활용의 유연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통영 근대역사문화공간은 통영시 중앙동과 항남동 일대로, 조선시대 통제영 거리의 흔적들이 남아 있다. 대한제국 시기부터 조성한 매립지가 있는 등 일제 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번화한 구도심 경관과 건축 유산이 보존됐다.
도는 통영 근대역사문화공간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종합 정비계획을 수립한다. 학술연구, 근대문화유산·토지 매입, 등록문화재의 보수‧복원 계획, 문화경관 정비 계획 등의 내용이 담긴다.
통영 김상옥 생가 (사진=경남도청 제공)
사업 대상지를 '근대역사문화예술촌(통영문화광장)', '근대역사문화거리(1919거리)', '근대문화예술거리(강구안 프리마켓거리)'로 크게 3곳으로 나눠 추진한다. 근대 역사를 바탕으로 지역 주민과 청년 문화예술인이 상생할 수 있는 특색 있고 차별화된 거리로 조성할 계획이다.
별도 등록문화재로 등록된 옛 통영목재 등 근대 건축물 9곳에 대해 외부는 원형대로 복원·보존하고, 내부는 새롭게 단장한다.
이 곳을 근현대 책공방, 북아트센터, 근대역사문화체험관, 예술가 하우스, 통영독립운동역사관, 디자인 소극장 등으로 활용하고, 청년 문화예술인 창업 지원, 근대역사문화거리 디지털 복원 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지역 주민이 사업의 단순한 수혜자가 아닌 시행 주체로 직접 참여시킨다.
도는 이 사업이 완료되면 통영의 근대역사문화공간이 새로운 도시 브랜드로 창출될 것으로 기대했다.
청년 문화예술인의 협업 공간 마련 등으로 300여 명의 청년일자리가 생기고, 장기적으로는 주민생활 기반시설 정비 효과, 탐방객 증대에 따른 지역 경제 활성화 등 쇠퇴한 구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새로운 형태의 관광 자원 콘텐츠 등 볼거리를 제공하고, 도내에 있는 근대유산에 대한 관심 유도로 근대역사문화자원 보존의 새로운 시발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경남도 류명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이번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됨으로써 민선 7기 문화와 결합된 경남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도민이 주도하는 문화생태계 조성을 가속화 하는 등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