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경남교육청 제공)
경남교육청은 11일 창원대학교에서 학부모와 교원 300여 명을 대상으로 '혁신교육 정책공감 콘서트'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교육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찾아가는 교육정책서비스'사업의 일환으로, 현장을 직접 방문해 혁신교육 정책을 안내하고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안순억 경기도교육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한국사회와 학교혁신' 특강에 이어 '혁신교육, 우리 아이들의 미래입니다'라는 주제로 행복학교 교사, 학부모, 관리자, 학생이 참여하는 토크콘서트가 진행됐다.
안 위원은 "학력 부진 프레임으로 혁신학교를 가두려 하지만, 최근 연구 결과를 보면 입학 성정과 경제 수준 등의 변수를 적용하면 학년이 올라갈수록 혁신학교의 성취도 향상 정도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혁신학교 졸업생의 특징은 '주체성'이며 '행복하고 따뜻하고 재미있는 학교'라는 기억을 공유하고 있음도 보고한다"고 덧붙였다.
행복학교인 아림고를 졸업한 곽원진 학생은 패널로 참가해 토론과 협력 중심의 수업, 동아리로 만난 학급의 친구들, 학생이 주도하는 자치활동을 통해 학교에서 함께 배우고 실천하며 주체적으로 성장한 경험을 얘기했다.
박종훈 경남교육감은 "행복학교에서 시도했던 민주적인 학교문화 조성, 배움중심의 수업 혁신, 소통과 배려의 공동체 문화만들기 등의 노력들이 조금씩 일반 학교로 퍼져 나가고 있다"며 "교육이 아이들에게 어떤 자리를 만들어 환대해야 하는 지에 대한 고민은 끊임없이 제기돼야 한다"고 말했다.